Language/JavaScript

PS시 유용한 JS메소드

Developer Rio 2022. 11. 8. 15:35

1. 배열에 값 넣고 빼기

●뺴기

Array.pop()  -> 마지막 값 빼기

Array.shift() - > 시작값 빼기

 

●넣기

Array.push(v) ->  Array의 끝에 v넣기

Array.unshift(v) -> Array의 시작에 v넣기

 

2. 배열 값 조작 - splice

● 매개변수 1개 의미->Array.splice(-1) or Array.splice(3) 시작위치 (음수이면 Array.length + 값 과 같다.)

해당 인덱스부터 배열의 끝까지 잘라내고 잘라낸 부분을 리턴한다. // 이때 Array.length 보다 값이크면 빈배열을 리턴하고 아무것도 자르지않는다. (-일때 절대값이 Array.length보다 크거나 같으면 배열전체를 잘라낸다. )

●매개변수 2개 의미 -> Array.splice(3,0)  Array.splice(3,2)

시작index부터 몇개를 잘라낼지를 정한다. 즉 두번째 매개변수가 0이면 Array를 변경시키지 않고 빈배열을 리턴

●매개변수 3개 이상의 의미 -> Array.splice(3,1,1) 

기존배열에서 start부터 두번째 매개변수개수만큼 잘라내고 이후 마지막 요소들을 추가한다.

 

3. 배열 뒤집기 : reverse() 메소드 #반환값 : 뒤집은 배열의 참조변수 #원본배열 : 뒤집힌배열로 변경됨

const arr [ 1,2,3 ]

reverse  = arr.reverse()

reverse에는 arr변수를 참조하는 변수가 담기고 arr배열은 [3, 2, 1]이된다. 이때 spread syntax를 이용하면 원본배열의 변환없이 변경가능하다.

 

4. Array -> string // string ->Array

●string ->Array

1. spread Syntax 

const string = 'apple' 

const arr = [...string]

2. split('')메소드

const string = 'apple'

const arr = string.split('') //이때 ''을 생략하면 'apple' 자체가 배열로 들어가게된다.

 

●Array -> string

1. join메소드 활용 //이때 파이썬과 다르게 배열의 모든원소가 문자열이아니라도 알아서 변경해서 추가해줌

#반환값 : 호출한 배열을 문자열로 만들고 그것을 참조하는 변수  #원본배열 : 변경x // join의 매개변수에 기본값은 ',' 이다.

const arr = [1,2,3,4] 

const string = arr.join('') // '1234'

 

5.배열 값, index찾기  - find, findIndex

공통점 : 왼쪽에서부터 탐색을 시작하여 일치하는 즉시 리턴을 해준다. (없으면 undefine 리턴)

차이점 : find는 값자체를 리턴, findIndex 는 index를 리턴 (없으면 -1리턴)

Array.find(v => v === 찾기원하는값)

Array.findIndex(v => v === 찾기원하는값)

 

6.배열 or 문자열 값 읽어오기 .slice메소드

arr[2:-1] 처럼 값 잘라서 쓸 수 있는거 

● 매개변수 1개 의미 -> 시작index를 의미

● 매개변수 1개 의미 -> 마지막 index를 의미

=> index보다 커도 오류나지않고 만약 크다면 끝까지 반환해줌, -1,-2 같이 음수인덱싱을 이용할 수 있음

 

7.배열 한번에 추가하기 concat

array1.concat(array2) // #반환값 : 추가된 배열 #원본배열 : 변경되지않는다(array1은 변경x)

 

8. sum

sum은 따로없기에 reduce메소드 사용해서 계산해줘야함 arr.reduce((a,b) => a+b ,0)

2번째 매개변수는 accumerlator의 초기값, a는 accumerlator , b 는 arr의 value가 차례로 들어간다.

 

9. 문자열 외 타입 -> 문자열 

String(변수 or 숫자)

 

● 10진수 ->n진수

number.toString(n) -> 숫자진수로 바꿔줌 예를들어 2를 넣으면 10진수를 2진수로 변경해준다.

● (참고) n진수에서 10진수로

parseInt(n진수문자열, n) 

 

10. python의 enumerate와 비슷한 표현 entries

const foobar = ['A', 'B', 'C'];

for (const [index, element] of foobar.entries()) {
  console.log(index, element);
}

11. python의 chr ord기능

num to string => String.fromCharCode() 

string to num => 'ABC'.charCodeAt(0);

 

12. 대소문자 변경

string.toUpperCase() => 대문자로

string.toLowerCase() => 소문자로

'Language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호이스팅  (0) 2022.12.17
JS / == 과 ===차이  (0) 2022.12.04
Js의 깊은 복사 얕은 복사  (0) 2022.11.26
JS정규표현식  (0) 2022.11.14
PS시 유용한 JS문법  (0) 2022.11.07